1/20 페이지 열람 중
kelp나 인터넷을 뒤져 봤지만 종합적으로 부팅 속도 개선에 대한 내용을 못 찾았습니다. 부팅 속도 개선의 기법이나 사이트 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주로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서비스(데몬)를 시작하고 안하고 하는 것 이외에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적용가능한 내용 위주로 구성된 내용이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.
사이트 정리가 안되는것 같아서... 기존의 내용을 다 정리하고. QT관련된 내용만 남겨 두었습니다. 더 필요한 내용과 여러가지 운영방안에 좋은 의견 있으신분들은 의견 개진 부탁드립니다.
nxAllocReq에 대한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데요.. 어느문서에선가 보니... nano-X server 와 client 개념으로 되어져 있다는 것 같은데... 어떤 원리 인가요??? 혹시 알고 계시는 분 계시면 리풀좀...부탁드립니다...
ftdemo.c 파일을 수정하여 test 해 보았습니다. 수정한 것이 1. ftdemo.txt 내용을 한글출력 으로 수정 하였습니다. if ((file = fopen("bin/ftdemo.txt", "r")) == NULL) { 2. GR_TFUTF8->GR_TFUC16으로 수정 GrText(window, gid, MAXW/2, MAXH/2, buffer, n, state|GR_TFUC16); 3. config 내용 수정 후 microwindows 재 컴파일 - FREETYPE…
[code=c] char resultStr[100]; /* Table including ksc5601 hangul to unicode */ static const unsigned short ksc5601_hangul_to_unicode[2350]= { 0xac00, 0xac01, 0xac04, 0xac07, 0xac08, 0xac09, 0xac0a, 0xac10, 0xac11, 0xac12, 0xac13, 0xac14, 0xac15, 0xac16, 0xac17, 0xac19, --------------------------…
질문만 봐서는 단지 한글 출력을 원하시는 건지 폰트를 만드시고 싶으신 건지 알 수가 없군요. 출력을 원하시는 거라면 다음과 같이 해보시면 될껍니다. 간단히 비트맵 폰트를 사용하시고 싶으시면 microwindows config에서 HAVE_KSC5601_SUPPORT를 Y로 설정하시고 다시 make부터 수행하신다음 테스트 하실 때는 GrText()함수에 스트링은 완성형 코드 문장을 그냥 적어주시고, MWTF_DBCS_EUCKR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 그러나 freetype 폰트를 쓰시고 싶으시면 우선 freetype을 받으셔서 …
폰트에 대한 프로그램을 짜 본적이 없어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. 뭘 봐야 하는지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[이 게시물은 korone님에 의해 2004-12-16 18:34:12 마이크로 윈도우즈(으)로 부터 이동됨]
현재 아래의 함수를 이용하려 bmp를 출력하고 있습니다. GrDrawImageFromFile (w, gc, 0, 0, info.width, info.height, filename, 0); 그런데 이미지 출력이 매우 느립니다. 320 * 240 bmp 파일을 출력하는데 약 1초 정도 소요 됩니다. 처음에는 vmware상에서 돌려 느릴꺼라고 생각했는데 desktop 컴퓨터에서도 동일하게 느리더라구요. 혹시 이미지 출력 하는 다른 함수나 예제 있으면 가르쳐 주십시요. [이 게시물은 korone님에 의해 2004-12-16 …
그림은 GUI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인데 여기서 3번째 기둥은 SMDK2410에 Qtopia를 porting하였을 때 계층적 구조를 나타낸다. 2번째 기둥은 일반적인 pc에서의 Linux GUI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4번째 기둥과 동일한 계층 구조를 가진다. Qt/Embedded의 경우 Frame buffer위에 올라가지만 Qt/X11의 경우 X-Window 위에서 작동하며 X-Window는 embedded system에 올리기에는 너무 크고 무겁기 때문에 대신 TinyX가 올라가는 구조가 된다. 역시 TinyX에 GTK+를 올릴 …
QT로 PLC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. 아스킷 모드로 통신하는건 테스트로 해보아서 성공했는데 바이너리 모드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에서 질문드립니다. 바이너리로 통신하는 연결 코드들을 보면 QByteArray msg ; msg.append( (Char) 0x50 ); msg.append( (Char) 0x00 ); 이라고 적혀있는 구문을 보았는데 0x50 => 50이라는 뜻으로 보이는데 이 코드는 유니코드로 보는건가요? 이 부분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므로 검색해서 알 수 있는 단어를 알고 싶습니다. 아…